[노트펫] 반려동물에 대한 글을 쓰다 보면 가끔 밑도 끝도 없는 악플이 달린다.
글의 취지와는 상관없이 대부분은 ‘동물한테 그러지 말고 부모한테나 잘 해라’, ‘그렇게 좋으면 눈에 띄게 하지 말고 데려가서 키워라’, ‘동물이 인간보다 나을 수는 없다, 동물은 동물일 뿐’ 등으로 다 비슷한 맥락이다.
동물들이 무엇을 그렇게 잘못했기에 존재만으로 미움을 받고, 무조건 인간보다 하등한 생물 취급을 받는 걸까.
한편 가끔 그런 댓글을 만날 때도 있다. ‘고양이를 왜 아이라고 하냐, 무슨 말인지 몰라 혼란스러웠다.’
많은 반려인들이 자신의 반려동물을 ‘아이’라고 부르거나 ‘여아’, ‘남아’ 등으로 성별을 표현한다. ‘암컷’, ‘수컷’이라는 표현은 사실상 반려동물 커뮤니티에서는 거의 찾아볼 수 없는 단어가 되었다.
![]() |
동물을 꼭 의인화해서 그런 것보다는, 실제로 자식처럼 또 가족처럼 생각하는 마음이 언어로 표현되어 나오는 것이리라.
나 역시 우리 집 고양이들에게 나 자신을 ‘언니’ 혹은 ‘엄마’로 지칭하고, 다른 사람들에게 소개할 때 ‘우리 집 아이들’이라고 말한다.
또는 ‘고양이가 아무리 예뻐도 자식 낳아 봐라’, ‘꼭 아기 낳아 키워봐야 진정한 행복을 알 수 있다’는 훈계조의 댓글을 볼 때도 많다.
그들은 마치 아기를 낳으면 고양이와의 관계는 아무 것도 아니라는 것처럼, 아기를 낳아야만 고양이와는 알 수 없었던 새로운 세계가 펼쳐진다는 것처럼 말한다.
물론 그럴 수도 있다. 그러나 나는 아기를 새 가족으로 탄생시킨다고 해서, 기존의 내 가족인 고양이들이 무조건 뒷전으로 밀려나고 비교적 소중하지 않은 존재가 된다고는 생각하지 않는다.
사랑의 카테고리는 다를지도 모르지만 아기는 아기대로, 고양이는 고양이대로 소중한 존재다. 오히려 새 가족을 받아들일 연습과 준비를 하고, 자연스럽게 한 가족이 되어가야 하지 않을까.
엊그제는 지인이 입양 보낸 고양이가 파양되어 돌아왔다. 그 집에서 아기가 태어났다는 이유였다.
아기와 고양이가 함께 있는 것을 가족들이 많이 싫어하고, 고양이도 자꾸 울어서 아기와 고양이를 같이 돌볼 수가 없다고 한다.
고양이는 그 집 가족으로 6개월 가량을 살았지만, 아기의 탄생에 밀려 가족의 울타리 바깥으로 밀려났다. 그렇다면 사실, 애초에 가족이 아니었을지도 모르겠다. 고양이는 그냥 고양이일 뿐이었을 것이다.
![]() |
사람의 생명은 소중하지만, 동물의 생명도 똑같이 소중하다. 나는 사람이 무조건 동물보다 우선이라고는 생각하지 않는다.
생명을 함부로 다루고, 버리거나 죽이고, 말하지 못한다는 이유로 학대하는 사람들이 생기는 건 어차피 동물은 사람보다 못하다는 발상에서 나오는 게 아닐까.
생명에 우위를 정하는 순간 동물은 인간보다 가치 없는 것, 인간이 멋대로 다뤄도 되는 것이 되어 버린다.
내게는 반려동물도 평생을 함께 살아야 할 가족이다. 비반려인에 대한 매너와 에티켓을 지키고, 그들이 동물을 싫어하거나 무서워하는 감정을 존중하는 것은 물론 마땅한 일이다.
하지만 그들을 ‘아이’라고 부르며 내 가족의 영역에 들여놓는 것도 하나의 사랑 방식이다.
생명은 모두 소중하다고 평등하게 인정받는 세상, 인간이라는 이유로 약한 생명에게 힘을 남용하지는 않는 세상이 오길 바란다. 물론 아마 쉽지는 않을 것 같다.
박은지 칼럼니스트(sogon_about@naver.com)
회원 댓글 2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