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트펫] 다리나 팔에 쥐가 난 경험, 일생에 한 번 정도는 하게 됩니다.
평소에 운동을 잘 하지 않다가 갑자기 근육에 무리가 갈 정도로 운동을 하거나, 잘 쓰지 않던 부위의 근육을 쓰거나, 잘못된 자세를 오래 유지하거나 특정 부위에 혈액순환이 잘 되지 않거나 하는 경우 생기는 증상인데요.
근육에 경련이 일어나고, 본인 의지와는 상관없이 근육이 강하게 수축하면서 큰 통증을 유발하게 됩니다. 수분에서 수십 분 정도 지속되거나 그보다 오래 지속되는 경우도 있으며, 완전히 회복될 때까지 몇 번 반복되는 경우도 있다고 하는데요.
반려동물에게도 쥐가 날까요? 수의사들도 가끔 반려동물이 통증이나 절뚝거리는 증상을 보이다가 금새 나아졌다는 이야기를 듣거나, 집에서는 아프다가 병원에 오자마자 기적처럼 일어나는(?) 아이들을 보기도 하는데요.
![]() |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반려동물도 쥐(단기간 지속되는 근육경련과 수축)는 날 수 있습니다. 그런데 동물에게 정말 쥐가 났는지, 아니면 다른 문제가 있었는지는 사람보다 훨씬 알기가 어렵습니다. 동물은 사람 말을 하지 않기 때문이죠.
사람은 어떤 근육에 쥐가 났을 때, 그게 일시적인 문제(쥐)인지 좀 더 심각한 상황인지 의학 지식이 없는 일반인이라도 어느 정도는 판단할 수 있습니다.
최근 운동량이 많았다든지, 다리를 꼬고 오래 앉아 있었다든지 하는 상황정보를 자신이 가지고 있습니다.
또 어떤 사람은 쥐가 나기 전에 조금씩 근육이 굳어가는 듯한 전조증상을 느끼기도 하고, 근육경련과 함께 다른 증상이 나타나지 않고 단지 일시적인 문제로 끝난다면 ‘쥐가 났었구나’ 하고 넘어갈 수 있죠.
하지만 동물은, 갑작스레 근육경련이 일어났을 때 우리가 객관적으로 알 수 있는 것이라고는 "동물이 다리를 절며, 통증을 호소하고 있다" 정도입니다. 말이 통한다면 뭐라도 물어볼 수 있겠지만, 그렇지 않기 때문에 수의학적으로 가능한 모든 경우를 염두에 두게 됩니다.
동물이 다리를 절며 통증이 있을 수 있는 원인으로는 뭐가 있을까요? 외상, 골절, 탈구, 인대 손상, 관절염, 신경 손상을 비롯한 수많은 이유가 있을 수 있습니다. 드물지만 심각한 경우 심장병 때문에 다리를 절게 되는 경우도 있죠.
때문에 반려동물도 쥐가 날 순 있지만, 사람과는 달리 보자마자 ‘쥐가 났다’고 확신할 수 있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그래서 반려동물이 ‘다리를 전다’는 표현은 자주 볼 수 있지만, ‘쥐가 났다’고 표현하는 경우는 드문 것이 아닐까 합니다.
양이삭 수의사(yes973@naver.com)
회원 댓글 0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