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생후 2개월 베어(왼쪽) 대 생후 7개월 베어. |
[노트펫] 흔히 개의 1년은 사람의 7년이라고 한다. 그만큼 강아지들은 빨리 자라서, 보호자들은 짧은 강아지 시절을 그리워한다.
한 보호자가 5개월 만에 훌쩍 자란 강아지의 비교 사진을 트위터에 올려, 이틀 만에 251만명이 ‘좋아요’를 눌렀다. 이 트위터가 견주들의 강아지와 성견 비교사진을 올리는 성지가 됐다고 온라인 영자 매체 보어드판다가 지난 9일(현지시간) 전했다.
아이디 ‘_ThatGuyFuller’는 지난 8일 자신의 트위터에 생후 2개월 된 골든두들(골든 리트리버와 푸들 교배종) 반려견 ‘베어’의 사진과 생후 7개월 사진을 비교했다.
2 Months Vs. 7 months pic.twitter.com/Udgr277WVO
— DRE D’USSÈ (@_ThatGuyFuller) July 8, 2020
보호자가 화장실에서 베어를 안고 찍은 것은 같았지만, 베어의 덩치는 몰라보게 커졌다. 생후 2개월의 베어는 보호자의 한 팔에 꼭 안길 정도로 작았다면, 생후 7개월의 베어는 보호자 어깨에 앞발을 두르고 어깨동무를 할 만큼 커졌다. 5개월 만에 훌쩍 큰 걸 보니, 조만간 보호자가 베어를 들어 올리지 못할 날이 올 것으로 보인다.
![]() |
골든두들 뿐만 아니라 다양한 종류의 반려견을 기르는 보호자들이 크게 공감했다. 이 트위터는 강아지와 성견 비교사진의 성지(?)가 돼, 댓글이 1만5000개 넘게 달렸다.
![]() |
개 엄마와 개 아빠들은 댓글에 폭 안긴 강아지와 이제 안기 힘든 성견의 사진을 비교하면서, 애견인들의 성지순례 장소(?)가 됐다. 댓글에 올라온 성견은 생후 10개월부터 10년까지 다양했다.
![]() |
견종마다 성장 속도가 다르지만, 보통 1살이 되면 성견이라고 본다. 다만 개의 뼈는 생후 6개월부터 24개월까지 계속 자란다고 한다.
소형견이 대형견보다 더 빨리 크고, 성장 기간도 대형견의 절반 수준이다. 미국 애견협회(AKC)의 최고수의학책임자(CVO)인 제리 클라인 수의사는 평균적으로 “소형견은 보통 생후 6~8개월이면 성장을 멈추고, 대형견은 생후 12~18개월까지 자란다”고 설명했다.
![]() |
단, 성장에 식단이 큰 영향을 미친다. 애견 커뮤니티 ‘몬쿠 도그(Monkoo Dog)’의 전문가들은 강아지에게 자율배식을 하면 “당신의 예상보다 강아지가 더 빠르게 자랄 위험이 있다”고 경고했다.
![]() |
특히 전문가들은 견종, 강아지의 발 크기, 피부 늘어짐 등을 보면 강아지가 얼마나 클지 알 수 있다고 조언했다. 발 크기와 균형을 맞춰서 몸이 성장하기 때문이다. 또 피부가 많이 늘어진다는 것은 그만큼 더 자랄 공간이 있다는 소리라고 전문가들은 강조했다.
회원 댓글 0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