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맥켄지의 몸무게는 1.8킬로그램에 불과해서 트로피보다 가볍다.(왼쪽) 어미를 잃은 아기 다람쥐를 핥아준 맥켄지.(오른쪽) [사진 출처: Facebook/ LoveForMiaCleftPalateChihuahua] |
[노트펫] 구사일생으로 살아남은 작은 장애견이 장애동물들에게 최고의 대모(代母)가 됐다. 그 공로로 몸무게 4파운드(약 1.8㎏)에 불과한 치와와 ‘멕켄지’가 경쟁견 407마리를 제치고 올해 미국 최고의 영웅견 상을 거머쥐었다고 미국 CNN 방송이 지난 24일(현지시간) 보도했다.
![]() |
비영리 동물보호단체 ‘아메리칸 휴메인’은 매년 100만명 넘는 온라인 투표인단과 동물을 사랑하는 유명인사 심사단의 숙의 끝에 아메리칸 휴메인 영웅견 상을 수여하는데, 올해 10회 최고의 영웅견으로 맥켄지를 선정했다.
![]() |
맥켄지가 지난 9월 생후 5주 된 검은 복서 강아지 ‘미스 로즈’를 핥아주고 있다. 미스 로즈가 잘 적응하지 못하자, 맥켄지가 먼저 다가와서 놀아줬다고 한다. |
원래 미국 캘리포니아 주(州) 비벌리힐스 시(市)에서 시상식이 열리지만, 코로나19로 올해는 각자 자택에서 수상하는 모습을 홀마크 채널에서 방송했다.
![]() |
맥켄지가 강아지 ‘런디’를 핥아주고 있다. |
맥켄지를 돌보고 있는 비영리단체 미아재단은 수상 소감에서 맥켄지가 영웅견 트로피보다 가볍지만, 맥켄지의 모성애는 그 누구보다 강하다고 강조했다.
![]() |
강아지 맥켄지. 미아재단은 약한 맥켄지가 살아남을지도 몰랐을뿐만 아니라, 커서 영웅견이 되리라고 상상치 못했다. |
강한 모성애의 원천은 동병상련의 공감이다. 맥켄지는 6년 전 뉴욕에서 구개열(입천장 갈림증)을 갖고 태어나, 생후 1년간 몸에 연결된 고무관 없이는 밥을 먹을 수 없었다. 게다가 수차례 폐렴과 싸우면서 생사의 기로에 서기도 했다.
![]() |
붕대를 감은 염소 ‘애리’ 곁을 지켜준 친구도 맥켄지였다. |
역경을 이겨낸 맥켄지는 장애동물들에게 그 어느 누구보다 훌륭한 엄마가 돼줬다. 맥켄지 자신이 투병했던 미아재단의 보호소에서 장애를 가지고 태어난 강아지, 칠면조, 염소, 다람쥐 등을 돌봤다.
![]() |
새끼 칠면조 ‘찰리’의 엄마가 돼준 맥켄지. |
![]() |
아메리칸 휴메인은 “맥켄지는 보호소에 들어온 첫 날부터 아기(동물)들에게 관심을 보이며 씻기고, 돌보고, 다독인다,”며 “그들의 엄마 역할을 하고, 사회화와 노는 법 그리고 예의범절을 가르친다.”고 밝혔다.
![]() |
강아지들을 돌보는 맥켄지. |
![]() |
맥켄지의 사랑은 동물들에게 국한되지 않고, 아이들도 사랑해준다. |
맥켄지는 동물뿐만 아니라 어린이들에게도 사랑을 나눠준다. 맥켄지는 학교에서 아이들에게 마음을 열고 동물을 대하는 법을 가르치고, 차이를 받아들이는 법도 알려준다.
회원 댓글 0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