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회는 4일 동안 진행됩니다. 보통 이틀 정도만에 끝나는 국내 학회만 다녔기 때문에 그 규모가 상상이 잘 가지 않았는데, 일정표를 보니 압축하고 압축해서 4일의 스케줄로 만든 학회라는 걸 알 수 있었습니다. 강연, 세미나, 워크샵, 박람회까지 학회의 모든 것을 돌아보기에 4일은 턱없이 부족한 시간이었는데, 그만큼 수의학이라는 분야의 범위가 매우 넓다는 것이겠죠.
듣고 싶은 강연들의 시간이 겹치는 경우가 많아서 고민이 필요했습니다. 학회장도 넓어서 한 강의를 듣고 다음 강의를 들으러 가려면 바삐 움직여야 했고 동시에 움직이는 인파들도 많아서 다음 강의실까지 걸어서 15-20분이 걸려서 하루에 학회장 안에서만 만보 이상을 걸었습니다.
![](https://files.ban-life.com/content/2025/01/body_1736141508.png)
알찬 강의들이 많았는데, 인기가 많은 분야의 강의는 자리가 부족해서 서서 듣는 사람들도 많았습니다. 특히 한 분야의 교과서일 정도로 유명한 수의학 서적의 저자들의 강연들도 많아서 연예인을 보는 기분이었습니다. 사람이 많아서 쉬는 시간 묻고 싶던 질문도 하지 못했습니다.
![](https://files.ban-life.com/content/2025/01/body_1736141501.png)
강의 외에도 핫한 신약에 대해 기업에서 홍보하는 세미나도 많습니다. 다만 획기적인 신약들이 많은데 아직까지도 통관, 승인등의 문제로 한국에 들여올 수 없는 약들이 많아 아쉽습니다. 보따리상들을 통해서 어둠의 루트로 구할 수 있다고는 하지만, 대학병원은 그런 방식으로는 구할 수 없어서 약을 구비한 다른 지역병원으로 전원한 환자들도 종종 있습니다.
이런 한국의 상황과 관련해서 이번 학회 때 있었던 일화가 있습니다. 단백소실장병증, 간부전 등 여러가지 이유로 알부민이 부족한 동물들은 수혈을 통해 알부민을 공급해줘야 합니다. 이 때, 같은 종인 개에게서 유래의 알부민을 수혈해 주는 것이 부작용도 적고 좋지만 한국에서는 구할 수 없어서 사람으로부터 유래한 알부민을 수혈할 수 밖에 없습니다.
개 알부민은 미국에서는 쉽게 구할 수 있는데 한국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는 것이 늘 아쉽습니다. 마침 이번 학회에 수혈로 유명한 대가의 강의가 있었고 강의 후에 사람 알부민 수혈에 대해 물어볼 기회가 있었습니다.
![](https://files.ban-life.com/content/2025/01/body_1736141486.png)
질문을 하면서도 머쓱했습니다. 언제쯤 약을 구함에 있어서 통관과 재고 걱정없이 동물들을 치료할 수 있는 날이 올까요?
※ 위 정보는 2025년 01월에 작성된 정보로, 이후 변경될 수 있으니 방문 전에 반드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저작권자 ⓒ반려생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회원 댓글 0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