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트펫](https://image-notepet.akamaized.net/resize/620x-/seimage/20250212/33150314f33b0201bb676c65ab260401.jpg)
[노트펫] 경기도가 도내 동물보호센터에 대한 '동물보호센터 운영관리 컨설팅 지원' 사업을 수행할 업체를 모집한다고 11일 밝혔다.
해당 사업은 센터 운영의 질적 향상을 위해 ▲세부 업무처리 절차 지침 마련, ▲직원·봉사자·방문자 등의 교육 자료 개발, ▲전문화되고 효율적인 업무 처리를 위한 시스템 구축 지원을 위한 목적하에 운영될 계획이다.
해당 사업의 목표는 크게 세 가지다. 첫째는 동물보호센터 업무 평가 및 보호동물 복지수준 평가를 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업무 효율성과 보호동물 복지를 향상할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둘째는 동물보호센터의 구역별 업무 흐름 및 방법에 대한 세부 업무 처리 지침서를 개발하는 것이다.
셋째는 직원, 자원봉사자, 입양자 등에 대해 센터 내에서 반복적으로 이뤄지는 교육을 위한 시청각 자료를 개발하는 것이다.
도에 따르면, 전국적으로 매년 10만 마리 이상 발생하는 유실·유기동물 중 20%에 달하는 2만 마리 이상의 동물이 경기도 내 20개 동물보호센터에서 보호되고 있다. 센터를 통해 약 40%의 유실·유기동물들이 보호자를 찾아 돌아가거나 입양 등을 통해 새 가정을 만났다.
동물보호센터별로 규모, 시설, 인력, 입소 동물의 특징, 업무처리 방식 등이 다르므로 적절한 운영을 위해선 그 센터에 특화된 세부 업무 처리 지침이 필요한 상황.
동물보호센터 업무가 농림축산식품부의 '동물보호센터 운영 지침'을 따르고 있으나, 해당 지침은 큰 틀에서의 운영 기준을 정해줬을 뿐이라는 것이 도의 설명했다.
도는 업무를 잘 모르는 신규 및 동료직원이 보고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자세한 '센터별 맞춤형 업무 처리 지침'이 필요한 상황이며, 이를 통해 센터 운영 효율성 향상과 입양 활성화 효과를 기대한다.
또한, 자원봉사자, 입양자 등을 위한 각종 시청각 교육자료 개발을 통해 매일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는 업무로 인한 업무 부담 감소와 체계화된 교육 시스템 개발을 통해 적절한 유실·유기동물 관리와 안전사고 예방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연숙 경기도 동물복지과장은 "동물보호센터 운영관리 컨설팅 지원 사업을 통해 동물보호센터 운영의 질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보호동물의 복지도 향상시키면서 동물보호센터 직원들의 고된 업무 부담도 줄일 수 있는 세가지 큰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번 사업은 경기도 내 7개 동물보호센터를 대상으로 추진될 예정이다. 수행 사업자 신청은 오는 21일(금) 저녁 6시까지 방문이나 등기우편을 통해 할 수 있다.
기타 자세한 사항은 경기도 누리집(https://www.gg.go.kr) > 뉴스 > 공고․입법예고 > 고시․공고란에서 ‘동물보호센터 운영관리 컨설팅 지원’을 검색하면 붙임 공고문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회원 댓글 0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