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notepet.akamaized.net/resize/620x-/seimage/20230602/f2daf609a50d2ebaa9dce8a549c021fc.jpg)
[폴동물병원의 알쓸반잡] 일반적으로 고양이는 헤어볼 구토를 합니다. 하지만 일반적인 컨디션이 아니라 장폐색을 일으킬 수 있는 심각한 건강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https://image-notepet.akamaized.net/seimage/20240719/81ca1154ba431647b9bc9d39a871e08f.jpg)
고양이가 스스로 헤어볼을 최소한으로 유지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고양이 헤어볼은 까다로운 손질, 그루밍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고양이가 그루밍을 할때 혀에 있는 작은 갈고리 모양의 구조물이 느슨하고 죽은 털을 잡아서 삼키게 됩니다.
![](https://image-notepet.akamaized.net/seimage/20240719/b9aa3ed127ab825eed83be98d73d4238.jpg)
이 털의 대부분은 아무런 문제 없이 소화관을 통과합니다. 하지만 뱃속에서 머리카락처럼 남아있으면 헤어볼이 형성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고양이는 헤어볼을 제거하기 위해 토합니다. 헤어볼은 좁은 식도를 통과하면서 빠져나가기 때문에 둥글기보다는 가늘고 관 모양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https://image-notepet.akamaized.net/seimage/20240719/3dca54886308dc18e94b14bfa2e65369.jpg)
고양이의 헤어볼은 페르시안이나 메인쿤, 노르웨이 숲 같은 장모 품종에서 나타날 가능성이 더 높습니다.
털갈이를 많이 하거나 강박적으로 그루밍을 하는 고양이는 털을 더 많이 삼키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헤어볼이 생길 확률이 더 높습니다.
그래서 어릴 때보다 고양이가 나이가 들수록 더 능숙하게 손질하므로 혀로 털을 제거하는 데 더 능숙해집니다.
![](https://image-notepet.akamaized.net/seimage/20240719/856af92b217775acd855f1336bdd128a.jpg)
그러나 드물기는 하지만 고양이 배 속에 있는 털 덩어리가 너무 커서 통과할 수 없거나 소화관에 걸리면 헤어볼이 위험할 수 있습니다.
최근에 연속적으로 구토를 해서 내원한 고양이입니다. 평소 그루밍을 해서 토사물에서 매일 헤어볼이 나왔다고 하셨습니다. 구토 이후에 밥도 잘 먹지 않고 이제는 물만 먹어도 토하는 증상으로 내원하였습니다.
![](https://image-notepet.akamaized.net/seimage/20240719/7e303682e56c44bb3a43938793a37cf1.jpg)
방사선 검사에서 위가 확장되어 있는 소견이 보였습니다.
![](https://image-notepet.akamaized.net/seimage/20240719/ad550da9c6d9b9428bb61fd013dd6f5f.jpg)
초음파 검사에서 위내 액체저류와, 이물소견이 확인되었습니다. 십이지장에서도 이물 소견이 확인되었습니다.
내시경을 통해 위내 이물을 제거해 보기로 하였습니다. 십이지장에 있는 이물은 장아래로 내려갔을 경우 수술로 제거해야 하는 위중한 상황이었습니다.
![](https://image-notepet.akamaized.net/seimage/20240719/e707bef5824e323ec24ca52b2f0c8243.jpg)
지속적인 구토로 인해 신전성으로 신장수치가 상승하여 충분한 수액 처치를 먼저 진행하고 마취를 진행하였습니다.
![](https://image-notepet.akamaized.net/seimage/20240719/aa321befc80c93d3236e7dbc4727d596.jpg)
위내 이물은 내시경으로 손쉽게 제거할 수 있었습니다.
![](https://image-notepet.akamaized.net/seimage/20240719/9094eba88dbcd95181f6142b25e986b8.jpg)
또 다른 이물이 있는 십이지장 입구에서 이물이 작게 확인되고 있었습니다.
![](https://image-notepet.akamaized.net/seimage/20240719/eb02200a2941db66fdfd982e1d13eb83.jpg)
좁은 십이지장에서 여러 가지 기구로 시도 하면서 어렵게 이물을 끄집어낼 수 있었습니다. 이물은 예상대로 헤어볼 덩어리였습니다.
자칫 수술해야 할 수 있었지만 다행히 내시경으로 꺼내 수술 없이 빠르게 회복할 수 있었습니다.
▲고양이 헤어볼 관리
고양이의 헤어볼을 완전히 예방할 수는 없지만 고양이가 헤어볼을 가질 가능성을 줄이거나 빈도를 줄이기 위해 할 수 있는 일이 있습니다.
•고양이 털을 정기적으로 손질해 주세요.
고양이의 털을 많이 제거할수록 뱃속에서 헤어볼로 변하는 털의 양이 줄어듭니다. 고양이와 빗질하면서 특별한 유대감을 형성할 수도 있습니다. 고양이가 빗질에 익숙해지지 않는다면 털을 미는 것도 방법입니다.
![](https://image-notepet.akamaized.net/seimage/20240719/698d6f744190144366df9208564a6190.jpg)
•헤어볼용으로 제조된 고양이 사료를 사용해 주세요.
고양이가 정기적으로 헤어볼을 구토한다면 문제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되도록 특별히 제조된 사료로 바꾸는 것을 고려해 주세요.
헤어볼 사료에는 소화 시스템을 통과하는 데 도움이 되는 섬유질, 오일, 미네랄, 비타민이 들어있습니다.
•섬유질을 더 추가해 주세요.
사람과 마찬가지로 고양이도 건강한 소화관을 유지하려면 섬유질이 필요합니다.
고양이의 식단에 약간의 섬유질을 추가하면 소화 시스템을 통해 음식물이 더 잘 이동하도록 도와 헤어볼 위험을 낮추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물 섭취량을 늘려주세요.
건사료를 먹는다면 고양이의 수분 공급 요구 사항을 충족하지 못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수분량이 부족하면 소화 시스템이 제대로 기능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김평 수의사(kimpyung@hanmail.net)
회원 댓글 0건